728x90
반응형
대중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고 혜택이 더욱 확대되는 K-패스 교통카드의 환급률 및 환급금을 받기 위한 조건을 살펴본다.
1. K-패스 이용자별 환급률
대중교통 활성화 및 교통비 부담 완화를 위해 걷거나 이동한 거리에 관계없이 이용한 대중교통비의 일정비율(20~53%)을 환급해 주는 사업
K-패스 | 유형 정의 | 적립률 | 예) 2,000원 기준 |
일반 | 타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이용자 | 20% | 400원 |
청년 | 「청년기본법」에 따른 만 19~34세 | 30% | 600원 |
저소득 |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53.3% | 1,070원 |
다자녀(2자녀) | 총 자녀가 2명 이상이며, 그 중 1명 이상이 만 18세이 이하인 성인 |
30% | 600원 |
다자녀(3자녀) | 50% | 1,000원 | |
비고 | -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월 최대 60회(일 최대 2회)까지 환급 - 복수의 유형에 해당할 경우, 높은 환급률 적용 |
- 단, 대중교통 이용요금 월 20만원까지는 이용요금으로 전액 인정되나, 20만원을 초과하여 이용하는 경우 이용 요금의 50%만 인정하여 환급됨
반응형
2. K-패스 환급금을 받기 위한 조건
① 만 19세 이상
② K-패스 참여 지자체에 거주하는 주민 중
③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 사람은 환급받을 수 있음
ㅇ 나이
- 만 19세 이상 성인에 한해서만 지원(어린이·청소년 미해당)
ㅇ 거주지
- K-패스에 참여하고 있는 210개 시·군·구 주민 이용 가능
ㅇ 횟수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우 환급 가능*하며,
- 최대 60회(일 최대 2회)까지 환급(60회 이상 이용한 경우 높은 금액 순 환급)
- 회원가입 첫 달의 경우, 월 15회 미만 이용시에도 환급 가능
3. K-패스 혜택이 적용되는 교통 수단
K-패스는 전국 지하철·광역버스·시내버스·마을버스·GTX 등 적용
ㅇ 별도 승차권을 발권해야 하는 고속·시외버스, 공항버스, KTX·SRT 등에는 미적용
4. 이용자가 거주하는 지역 외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K-패스 혜택
K-패스 회원이라면 회원의 거주지 외 전국 어디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더라도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음
(출처:국토교통부)
728x90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유행하는 노로바이러스감염증, 증상·감염경로·예방법·치료방법 (0) | 2025.01.07 |
---|---|
자동차검사 결과 '부적합' 판정 이유, 검사 전 미리 준비할 내용 (0) | 2025.01.04 |
K-패스 이용 방법, 전용 카드 발급 받을 수 있는 곳 (0) | 2025.01.02 |
K-패스 교통카드, 2025년부터 다자녀가구 혜택 등 달라진 점 (0) | 2025.01.02 |
2025년 기초연금 선정 기준액, 지급대상·신청방법 (0) | 2025.0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