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부터 시행한 K-패스로 이용자 평균 18,000원을 환급받는 등 대중교통비 부담이 많이 완화되고 있다. K-패스 이용 방법 관련 몇 가지 궁금한 점을 정리하여 소개한다.
교통카드 K-패스 이용 방법
1. K-패스 혜택을 받으려면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는지?
- K-패스 전용 카드(신용, 체크, 선불형 교통카드) 발급 후 회원가입만 하면 대중교통 이용 시 추가적인 절차 없이 혜택을 받을 수 있음
회원가입은 “K-패스” 앱(App)(한국교통안전공단 배포) 또는 누리집(korea-pass.kr)에서 가능
2. K-패스 전용 카드는 어디에서 발급받을 수 있는지?
- K-패스 전용 카드는 총 27개로, 현재 총 10개의 카드사에서 발급 중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 KB국민, NH농협, 이동의즐거움, DGB유페이
- 2025.2월부터 카드 5종 추가 예정
롯데, 레일플러스, 카카오뱅크, iM뱅크, 네이버페이
- 후불카드
일반적인 신용·체크카드로 카드사 앱·누리집에서 발급 가능하며, 일부 카드사(신한, 국민, 농협, 우리, 하나 등)는 은행에서도 발급 가능
- 선불카드
모바일 앱(모바일 이즐, 카카오페이, iM원패스)에서 모바일 선불카드를 발급받거나 편의점, 인터넷(캐시비샵), 지하철 역사(대구 지역) 등에서 실물형 선불카드 발급 가능
자세한 사항은 K-패스 앱 및 누리집 내 “K-패스 카드 > 카드 소개” 메뉴 참고
3. 실물카드를 소지하지 않아도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 안드로이드 이용자의 경우, 모바일형 선불카드를 발급받거나 실물카드를 모바일페이(삼성페이 등)에 등록해 이용 가능(아이폰 이용자는 불가)
- 모바일선불
K-패스 선불카드를 발급하는 모바일 앱(모바일 이즐, 카카오페이, iM원패스)에서 모바일 선불카드를 발급해 이용 가능
- 모바일페이
후불교통카드(신용·체크카드)에 한해 모바일페이(삼성페이, 페이코, NH페이, BC페이북 등)에 등록하여 이용 가능
카드별 사용 가능한 모바일페이 앱은 K-패스 앱 및 누리집 내 “K-패스 카드 > 사용안내 > 모바일페이 이용안내” 메뉴 참고
4. K-패스 적립내역은 언제 확인할 수 있으며, 실제 환급금은 언제 지급되는지?
- 영업일 기준 최소 2~3일 후, 최대 14일 이후(모바일 페이로 이용한 경우) 적립 내역 확인 가능
- 정산사로부터 대중교통 이용 내역을 수신한 후 정산 하는 구조로, 실제 대중교통 이용내역부터 환급금 계산 등에 수일이 소요되어 실시간 적립내역 확인은 불가
- 실제 환급금은 대중교통을 이용한 다음 달 영업일 7일에 카드사로 지급 요청되며, 이용자에게 실제 지급되는 날은 카드사별 상이
자세한 사항은 K-패스 앱 또는 누리집 “K-패스 카드 > 사용안내 > 카드사별 지급방식” 메뉴 참고
5. 외국인도 K-패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 외국인 등록번호가 있는 외국인에 한해 회원가입 가능
- 회원가입 시 주민등록번호 대신 외국인 등록번호를 입력해 가입 가능
(출처:국토교통부)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검사 결과 '부적합' 판정 이유, 검사 전 미리 준비할 내용 (0) | 2025.01.04 |
---|---|
K-패스 교통카드, 환급률 및 환급금 받기 위한 조건 (0) | 2025.01.03 |
K-패스 교통카드, 2025년부터 다자녀가구 혜택 등 달라진 점 (0) | 2025.01.02 |
2025년 기초연금 선정 기준액, 지급대상·신청방법 (0) | 2025.01.01 |
2025년 운영 중인 전국 '전문병원' 115개소 현황 (0) | 2025.0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