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심뇌혈관질환센터, 권역별·지역별로 지정된 24개 병원

by 명천 2025. 2. 3.
728x90
반응형

지난해 공모에 지원한 71개 기관 서면 및 구두평가 절차를 통해 신규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총 10개소와 권역별 심뇌혈관질환센터 14개소를 소개한다.

수술
수술 장면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지정기관(14개소)

심뇌혈관질환센터는 크게 중앙-권역-지역 등 3가지로 분류된다. 각각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 1개소,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14개소,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10개소가 지정되어 대응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연도별 심뇌혈관질환센터 지정

- (2008) 권역 신규 3개소

- (2009) 권역 총 6개소

- (2010) 권역 총 9개소

- (2012) 권역 총 11개소

- (2017) 권역 총 12개소

- (2018) 권역 총 13개소

- (2022) 권역 총 14개소

- (2023) 권역 재지정 평가

- (2024) 중앙 신규 1개소

- (2025) 지역 신규 10개소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 역할

중앙심뇌혈관지원센터는 서울대병원으로 심뇌혈관질환 정책개발 및 기술지원 인력교육 통계·연구개발 예방관리교육·홍보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권역별심뇌혈관질환센터 역할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는 시·도 단위 광역 거점기관으로서 고난이도 중증·응급 심뇌혈관질환 전문치료 24시간 가능하고 조기재활 및 예방관리사업 등을 수행하며 현재 총 14개소가 운영 중이다.

반응형
연번 지정연도 권역 병원명
1 2008 강원 강원대학교병원
2 대구·경북 경북대학교병원
3 제주 제주대학교병원
4 2009 경남 경상국립대학교병원
5 광주 전남대학교병원
6 충북 충북대학교병원
7 2010 부산 동아대학교병원
8 전북 원광대학교병원
9 대전·충남 충남대학교병원
10 2012 경기 분당서울대학교병원
11 인천 인하대학교병원
12 2017 경북(북부) 안동병원
13 2018 울산 울산대학교병원
14 2022 충남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지정 예정기관(10개소)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지정기관 선정은 중증·응급도가 높은 심뇌혈관질환자 지역 내에서 신속하게 전문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지역완결적 의료체계 구축하기 위함이다.

 

특히, 전남순천, 경남창원, 경북포항, 경기의정부 등 취약지 진료권에서도 우수한 역량을 가진 기관들이 지원하여 선정되었다.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역할

지역심회혈관질환센터는 지역 내 심뇌혈관질환자의 급성기 최종치료를 24시간 제공하고, 퇴원환자 등에 예방관리교육 및 지역홍보 등을 담당하며,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와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필요시 신속한 이송 등으로 적시 치료가 핵심인 심뇌혈관질환의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연번 지정연도 지역 진료권 병원명
1 2025 서울 서울서북 순천향대서울병원
2 경기 경기의정부 의정부을지대병원
3 경기 경기고양 국민건강보험일산병원
4 인천 인천동북 인천세종병원
5 경북 경북포항 세명기독병원
6 경남 경남창원 창원한마음병원
7 울산 울산서남 동강병원
8 대전 대전서부 대전을지대병원
9 충북 충북청주 효성병원
10 전남 전남순천 성가롤로병원

(출처:보건복지부)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