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연말까지 누적 26,788건, 작년 한 해 동안의 처리 건수는 15,975건으로, 2023년도 처리된 10,813건 대비 약 1.5배 증가수치를 보이고 있는 '지우개서비스' 이용방법을 소개한다.
"지켜야 할 우리들의 개인정보", 지우개서비스
2023년 4월 24일부터 시범운영을 시작한 ‘지우개서비스’는
“지켜야 할 우리들의 개인정보”의 약자로, 어릴 적 무심코 올린 개인정보가 포함된 온라인 게시물에 대하여 개인정보위가 삭제, 블라인드 처리 등을 도와주는 서비스다.
신청연령
- 30세 미만 국민 누구나
지원대상
- 19세 미만 시기에 본인이 온라인에 게시한 글·사진·영상 등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게시물
지원내용
- 해당 게시물의 접근배제(삭제, 블라인드 등) 신청·상담
신청방법
- 개인정보 포털 > 개인서비스 > 지우개(잊힐권리) 서비스 게시판(privacy.go.kr/delete.do)에서 자기게시물 입증자료 등을 첨부하여 신청
이용절차
신청·접수 | ⇒ | 상담 및 지원방법 결정 | ⇒ | 접근배제 등 요청 | ⇒ | 모니터링 및 통지 |
(국민→개인정보위) | (개인정보위) | (개인정보위→사업자) | (개인정보위→국민) | |||
• 개인정보포털 (privacy.go.kr) 접수 |
• 담당자 1:1 매칭 • 지원 대상, 방법 판단 |
•게시판 운영 사업자에게 접근배제 요청 | • 결과 확인 및 모니터링 |
'지우개서비스' 이용 현황
신청자 연령대 비율
작년 한 해 신청현황 분석 결과 신청자 연령대는 고등학생(41%)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중학생(34%), 24세 이하 성인그룹(14%) 순이었고, 개별 연령으로는 16세, 15세, 14세 순으로 많이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트별 서비스 신청 건수
게시물 삭제 요청은 주로 짧은 동영상을 뜻하는 ‘숏폼’을 게시하는 사이트를 중심으로 이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2023년에는 유튜브(22.4%), 인스타그램(20.5%), 네이버(19.6%)에 올린 게시물 순으로 삭제 요청이 많은 비중을 차지했던 반면,
2024년도에는 틱톡(35.9%), 유튜브(22.1%), 인스타그램(16.3%) 등에 올린 게시물 순으로 삭제 요청이 많았다.
상위 3개 사이트의 신청건수가 전년 대비 1.7배 증가하여 전체의 74.3%였으며, 특히 숏폼에 특화된 틱톡이 전체 신청건수의 35.9%를 차지(5,617건 신청)하여, 2023년도 15.6%(1,791건 신청) 대비 삭제 요청이 3배 이상 대폭 증가하였다.
지우개서비스 이용 만족도
더불어 지우개서비스 이용자 10명 중 9명 가까이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감을 표시하였다.
2024년 6월과 11월에 서비스 처리완료된 신청자를 대상으로 ‘재사용 의사, 이용목적 부합, 상담사 친절도, 향후 추천의향, 이용절차 용이성’ 등의 항목에 대하여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두 차례 실시했다.
결과는 각각 87점과 90점으로 이용자 대부분이 서비스 이용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며, 2023년도에 동일하게 두 차례 실시한 만족도 점수인 80점과 85점 대비 지속 상승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인정보위는 2025년도에도 “지우개서비스”를 지속 계속 운영한다. 특히 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중·고등학생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참여형 이벤트를 실시하는 등 맞춤형 홍보를 보다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출처:개인정보보호위원회)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문화누리카드, 지원대상·발급방법·사용처 (0) | 2025.01.31 |
---|---|
깊고 진한 소고기 육수 떡국, 한우와 사골 활용법 (0) | 2025.01.24 |
설 연휴 기간 전국 비 또는 눈 예보, 대설·한파 대비 행동요령 (0) | 2025.01.23 |
설 맞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사용처·할인률·환급액 (0) | 2025.01.17 |
연말정산, 출산·양육·주택 관련 확대된 비과세 및 공제 혜택 (0) | 2025.0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