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전국 공공 체육시설·회의실 네이버 지도, 카카오톡에서 예약 방법

by 명천 2025. 4. 22.
728x90
반응형

421()부터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이 보유한 전국 1,200여 개의 공공 체육시설 및 회의실을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톡 등 민간 플랫폼으로 직접 예약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제목

 

네이버 지도앱· 또는 카카오톡 앱 이용하여 예약 방법

 

지금까지는 공유누리 누리집(www.eshare.go.kr)에서만 공공자원 예약이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많은 이용자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네이버 지도앱· 또는 카카오톡 앱에서도 편리하게 예약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공유누리는 각급 기관이 보유한 시설, 물품을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국민에게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자원 통합예약 플랫폼이다.

 

이번 서비스는 공유누리와 민간플랫폼을 연계한 첫 사례다. 이용자들의 수요가 많은 체육시설(축구장, 족구장, 테니스장 등), 회의실, 강당·강의실 등 공공자원 시설을 민간 플랫폼에서 직접 검색·예약할 수 있게 되어 공공자원을 국민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휴시간을 활용해 개방되는 공공자원의 특성을 감안하여, 각 시설 여건에 따라 예약 즉시 확정되는 방식과 담담자의 승인이나 일정 조율을 거쳐 예약이 확정되는 방식으로 나눠 운영하게 된다.

 

다만, 위치상 접근이 어렵거나 회원제로 운영되는 시설, 공사 중이거나 이용이 제한된 자원은 이번 대상에서 제외했다.

반응형

예약은 각 민간 앱에서 다른 시설·서비스를 예약하는 방식과 동일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 네이버 지도에서 예약 방법

네이버 지도에서는 풋살장’, ‘회의실등 시설명을 검색하면 예약 가능한 자원이 지도에 표시되어 원하는 날짜와 시간대를 선택해 예약할 수 있다.

① 자원 검색 : 네이버 플레이스·지도검색
② 자원 상세 정보 확인
③ 예약 일자·회차 선택
④ 예약 세부정보 확인

 

② 카카오톡에서 예약 방법

카카오톡에서는 하단의 ‘더보기’ → 예약기메뉴를 통해 자원을 검색하고 마찬가지로 날짜 등을 선택해 신청하면 된다.

① 자원 검색 : 카카오톡→더보기→예약하기
② 자원 상세 정보 확인
③ 예약 일자·회차 선택
④ 예약 세부정보 확인

 

일부 유료 자원은 현장 결제 또는 계좌이체를 통해 비용 지불 후 이용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 공공자원을 민간앱 등을 통해 간편하게 예약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반기에는 우리은행·기업은행 앱·웹에서도 예약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는 공유누리서비스 자체도 지속 고도화할 계획이다.

 

기존 공유누리 서비스는 회의실, 공구 등 필요한 자원을 입력해야 색이 가능해 공공기관에 어떤 자원이 있는지 모르면 찾기가 어려웠다.

 

이에, 올해 말까지 이사’, ‘운동’, ‘여행’, ‘스터디등 개인의 생활 턴에 맞춰 적절한 자원을 자동 추천하는 상황별 맞춤형 검색 기능을 도입해 이용 편의성과 체감도를 더욱 높일 예정이다

 

민간 개방 대상 인기 자원 목록

자원 분류 운영기관 시설명 주소
체육시설 테니스장 사천시
시설관리공단
사천공공하수처리시설 테니스장 경남 사천시 사남면 공단2193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 테니스장 강원 양양군 양양읍 한고개길 42-37
풋살장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종합운동장 풋살장 강원 양양군 양양읍 한고개길 10
배드민턴장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군산실내배드민턴장 전북 군산시 남수송길539
회의실 대전교통공사 갈마역 화상회의실 대전 서구 한밭대로 지하 666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주민자치센터
본관2
충남 서천군 한산면 충절로1173번길 28-1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32층회의실 서울 성북구 솔샘로16-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문학관 세미나실 제주시 연북로 339
강의실/강당 광주광역시 광주공유센터 건물내
(F109문화예술공유방)
광주 남구 진월동 124-1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동 2층 강의실 서울 성북구 종암로 98-8
충청남도
태안군
태안청년창업
비즈니스센터 교육실
충남 태안군 태안읍 군청로 24

(출처:행정안전부)

728x90
반응형

댓글